코다: 소녀의 노래는 가족과 세상을 잇는 다리가 되었다.
영화 <코다> 역시 뮤지컬 영화는 아니지만 음악을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코다(CODA)는 Children of Deaf Adult의 줄임말로 이 영화에 등장하는 주인공 '루비' 역시 CODA입니다. 부모님과 오빠가 모두 농인이고 유일하게 루비만이 청인입니다. 화려한 영상미나 음악이 없어도 담백하고 현실적인 스토리로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합니다. 오늘 이 포스팅에서는 영화 <코다>의 줄거리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현대사회의 장애인 인권문제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져보려 합니다.
마음으로 전해지는 멜로디
루비의 가족들은 소리를 들을 수 없는 농인입니다. 집안에서 가족들끼리는 수어로 대화하고 오로지 루비만이 직접 소리를 대어 남들과 대화할 수 있습니다. 루비의 아버지와 오빠는 배를 타고 직접 생선을 잡아다 마을 경매 조합에 내다 파는 일을 합니다. 조합에 무슨 일이 생기거나 조합원들과 소통이 필요한 일에는 언제나 루비가 통역으로 나섭니다. 글과 필담으로 전하는 메시지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가족들은 루비의 통역에 의존해 세상과 소통합니다. 루비 역시 가족에게 자신이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때문에 그녀는 대학에 가려는 생각은 일치감치 접었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아버지의 일을 도울 생각이던 루비는 짝사랑하던 남학생을 따라 학교 합창단에 들어가게 됩니다. 노래를 불러본 적이 없던 소녀의 입을 통해 나온 목소리는 아름다웠습니다. 합창단 담당 선생님인 미스터 V는 루비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버클리 음대 입시를 준비해 보자고 제안합니다. 루비 역시 마음 한편에서는 노래를 부르고 싶은 열망이 있었지만 역시 자신이 대학에 가고 나면 남겨질 가족들이 걱정됩니다.
가족들은 루비가 노래를 잘한다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습니다. 당연합니다. 단 한 번도 루비의 목소리를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가족들은 반신반의하는 마음으로 루비의 공연을 보러 갑니다. 무대 위에서 루비가 노래하고 있지만 가족들은 들을 수 없습니다. 루비의 부모님과 오빠는 주변 관객들이 루비의 노래를 듣고 감동하거나 눈물을 훔치는 모습을 보고 비로소 루비가 재능이 있음을 알게 됩니다. 가족들은 루비의 인생을 위해, 루비는 또 가족들의 자립을 위해 대학을 가는 선택을 합니다.
실제 농인이 연기한 영화
농인이 등장하는 다른 영화에서는 대부분 청인이 수어를 배워 농인 역할을 하는 것과 달리, 루비의 가족들은 모두 실제 농인 배우가 연기했습니다. 루비 역할의 에밀리아 존스는 이 역을 위해 무려 9개월 동안 수어를 배워 촬영에 참여했다고 합니다. 농인 배우들은 이미 베테랑인 연기자들입니다. 그들은 실제로 자신이 장애인으로서 힘든 상황을 겪어본 적이 있기 때문에 더욱 실감 나는 연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노래하는 딸의 목소리를 듣고 싶어 딸의 목을 잡고 울림을 느끼는 아버지의 모습은 많은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합니다.
청인 자녀를 둔 농인 부모의 고충
몇 년 전에 장애인 부모와 그들 사이에서 태어난 비장애인 자녀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습니다. 비장애인인 자녀는 기껏해야 초등학교 저학년 정도의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야무지게 부모님의 일을 돕습니다. 생계뿐만 아니라 시장에 가서 장을 본다거나 행정 업무를 한다거나 하는 자잘한 일들도 아이를 대동해서 처리하고 있었습니다. 아니, 아이를 대동해서 통역을 해야만이 처리가 가능했습니다. 가족끼리 서로 돕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자칫 어린이로서의 삶이 영향을 받을까 우려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영화 <코다>에서도 비슷한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루비의 아버지와 오빠가 참석한 어업조합회의에서 조합원들에게 부당한 안건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아버지와 오빠는 회의 내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합니다. 뒤늦게 루비가 회의에 도착하고 나서야 의견을 낼 수 있게 됩니다.
비장애인인 가족이 장애가 있는 가족을 돕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나 비장애인인 가족이 자신의 모든 인생을 장애인 가족을 돕는 데에 할애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사회적으로 장애인 인권에 대한 인식이 점차 올라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본적인 행정업무조차 도우미가 없으면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비장애인 가족의 도움 없이도 최소한의 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리뷰] 렌트: La vie Boheme! (0) | 2022.06.20 |
---|---|
[영화리뷰] 틱틱붐: 그때는 서른이 끝인 줄 알았다 (0) | 2022.06.20 |
[영화리뷰] 위대한쇼맨: The Show must go on (0) | 2022.06.17 |
[영화리뷰] 헤어스프레이: 말괄량이 소녀가 이뤄낸 혁명 (0) | 2022.06.16 |
영화 아네트: 화려한 색채가 보여주는 질투와 광기의 노래 (0) | 2022.06.15 |
댓글